지공선사(地空禪師)라는 말이 있습니다. 청량리에서 춘천까지 가는 교외선 열차를 청춘열차라 부르는데, 손님의 주류가 65세 이상의 젊은 노인들로, 이들이 공공시설을 무료로 이용하는 복지 혜택으로 공짜로 지하철을 타고 데이트를 즐긴다하여 붙여진 비아냥거리는 조어라 하니 그 씁쓸함이 무겁기만 합니다. 절대적 빈곤이 어느정도 해결되자 복지국가를 지향하는 정부정책으로 6,70년대의 산업 역군으로 힘겨운 삶을 살아온 노인에 대한 배려를 한다지만 현실이 팍팍해 과거를 생각할 겨를이 없는 젊은이들은 일 없이 공짜만 즐기는 노인들에게 결코 호의적이지 않습니다. 조선후기 학자인 홍만종의 잡기, 옛날 글하는 사람들의 말과 민가의 속담을 기록한 책, 순오지(旬五志 1678년 숙종 4년)에서 “노인의 뱃가죽이 두꺼우면(老人潑皮:노인발피) 아무런 유익이 없다.”고 합니다. 노인발피(老人潑皮),나이든 사람의 배가 나오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건강의 적신호이니 조심하라는 뜻도 있겠지만, 좀 더 의미를 부여 한다면 노인이 욕심을 부리는 것, 일을 하지 않으며 대접을 받으려는 것, 등이 결국 해롭다는 뜻으로 받아들이면 어떻겠습니까! 곤충학자 정부희 박사의 신비한 곤충이야기를 듣다가, 건강하게 하루를 산다는 게 얼마나 큰 축복인지를 깨닫습니다.
<하루살이> 하루살이 곤충이 하루를 사는 것은 축복입니다. 해가, 뜨고 지는 우주의 변화도 보았고 햇빛과 공기를 온몸으로 마시며 생존의 법칙에 따라 번식을 위한 알까지 낳고 죽으니 하루살이 생명에 부족할 게 무엇입니까?
태생적으로 입이 없는 하루살이는 이틀을 살 수 있고, 삼일을 살 수도 있지만 사는 만큼 힘겨운 살음의 투쟁, 주림의 고통을 겪어야 하는 숙명이어서 하루 하루를 무덤 같은 요양병실에서 목숨을 거부하지 못해 연명 치료하는 인간보다 누추함이 없습니다. <인간 생명의 존엄을 폄훼하자는 뜻이 아님을 첨언합니다.>
2017. 11. 1
|
연락
|